목차
인간 유전자 수십억 개의 염기 가운데 특정 부위를 잘라 교정하는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로 변이 유전자를 편집해 질병을 고치는 치료제가 영국에 이어 미국에서 승인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유전자 가위 기술을 둘러싼 가격 논란과 특허권 소송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카스 9는 가위 구조를 변경 함으로써 변이 된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영국과 바레인에서는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를 활용한 치료제로 승인됐습니다. 엑사셀이라는 이름이 붙은 치료제로 만성 산소부족을 유발하고 장기손상으로 이어지는 '겸상적혈구빈혈증'을 치료제입니다.
골수이식으로만 고칠 수 있던 질환이지만, 환자의 골수에서 줄기세포 유전자를 채취하여 3세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로 편집 교정하여 다시 환자에 투여하는 방식으로 치료합니다
임상시험에서 환자 29명 중 28명에서 치료 효과가 보였으며 부작용은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 FDA도 현지시각으로 오는 8일 엑사셀의 승인 여부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김진수 / 싱가포르국립대 의대 초빙교수 : 인류가 달나라 가는 것보다 더 큰 사건입니다. 사람의 DNA를 고쳐서 질병을 치유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거예요.]
엑사셀이 출시되더라도 한 명당 치료비가 26억 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돼 치료받는 건 극소수일 것이며 로또 치료제로 전락될 수도 있습니다.
한 번의 치료로 추가 비용이 들지 않고 보험이 적용된다면 환자의 부담금은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만 혜택 받는 극소수에 해당되기에는 행운이 따라야 할 것 같습니다.
엑사셀의 원천 기술을 두고 유전자 가위 기업들의 서로 특허권을 주장에 기술료 전쟁도벌 어질 것으로 예고됩니다.
미 MIT 등이 설립한 브로드연구소와 UC버클리대, 서울대 교수가 설립한 툴젠 등이 크리스퍼 기술의 특허권을 주장하며 소송을 예고한 상황입니다.